2020 주택관리사 기출문제 23회
회계원리
1. 자본을 증가시키는 거래는?
- ① 고객에게 용역을 제공하고 수익을 인식하였다.
- ② 주식배당을 결의하였다.
- ③ 유통 중인 자기회사의 주식을 취득하였다.
- ④ 소모품을 외상으로 구입하였다.
- ⑤ 건물을 장부금액보다 낮은 금액으로 처분하였다.
2. 시산표의 차변금액이 대변금액보다 크게 나타나는 오류에 해당하는 것은?
- ① 건물 취득에 대한 회계처리가 누락되었다.
- ② 차입금 상환에 대해 분개를 한 후, 차입금계정에는 전기를 하였으나 현금계정에는 전 기를 누락하였다.
- ③ 현금을 대여하고 차변에는 현금으로 대변에는 대여금으로 동일한 금액을 기록하였다.
- ④ 미수금 회수에 대해 분개를 한 후, 미수금계정에는 전기를 하였으나 현금계정에는 전 기를 누락하였다.
- ⑤ 토지 처분에 대한 회계처리를 중복해서 기록하였다.
3.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근본적 질적특성은 목적적합성과 표현충실성이다.
- ② 완벽한 표현충실성을 위해서는 서술이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가 없어야 할 것 이다.
- ③ 정보의 유용성을 보강시키는 질적특성에는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중요성 및 이해가 능성이 있다.
- ④ 일관성은 비교가능성과 관련은 되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 ⑤ 목적적합한 재무정보는 이용자들의 의사결정에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
4. 20×1년 초에 설립한 (주)한국의 20×1년 말 수정전시산표상 소모품계정은 ₩50,000이었다. 기말실사 결과 미사용소모품이 ₩20,000일 때, 소모품에 대한 수 정분개의 영향으로 옳은 것은?
- ① 비용이 ₩30,000 증가한다.
- ② 자본이 ₩30,000 증가한다.
- ③ 이익이 ₩20,000 감소한다.
- ④ 자산이 ₩30,000 증가한다.
- ⑤ 부채가 ₩20,000 감소한다.
5. (주)한국의 20×1년 초 자산과 부채는 각각 ₩500,000과 ₩300,000이었다. (주)한 국의 20×1년도 총포괄이익이 ₩300,000이라면, 20×1년 말 재무상태표의 자본은?
- ① ₩100,000
- ② ₩200,000
- ③ ₩300,000
- ④ ₩400,000
- ⑤ ₩500,000
6. (주)한국은 20×1년 7월 1일 특허권을 ₩960,000(내용연수 4년, 잔존가치 ₩0)에 취득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허권의 경제적 효익이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형태를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없을 경우, 20×1년도에 특허권에 대한 상각비로 인식할 금액은? (단, 특허권은 월할상각한다.)
- ① ₩0
- ② ₩120,000
- ③ ₩125,000
- ④ ₩240,000
- ⑤ ₩250,000
7. 유입가치를 반영하는 측정기준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역사적원가
ㄴ. 공정가치
ㄷ. 사용가치
ㄹ. 이행가치
ㅁ. 현행원가
- ① ㄱ ㄷ ,
- ② ㄱ ㅁ ,
- ③ ㄴ ㄷ ,
- ④ ㄱ ㄷ ㄹ , ,
- ⑤ ㄴ ㄹ ㅁ , ,
8. 재무제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각각의 재무제표는 전체 재무제표에서 동등한 비중으로 표시한다.
- ② 경영진은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 ③ 기업은 현금흐름 정보를 제외하고는 발생기준 회계를 사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 ④ 부적절한 회계정책에 대하여 공시나 주석 또는 보충 자료를 통해 설명하면 정당화될 수 있다.
- ⑤ 재무제표의 목적은 광범위한 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기업의 재무상 태, 재무성과와 재무상태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9. 재무상태표에 나타나지 않는 계정은?
- ① 자본금
- ② 선급보험료
- ③ 손실충당금
- ④ 이익준비금
- ⑤ 임차료
10. 재무제표 구조와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수익과 비용 항목이 중요한 경우 성격과 금액을 별도로 공시한다.
- ② 유동성 순서에 따른 표시방법을 적용할 경우 모든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 순서에 따라 표시한다.
- ③ 정상적인 활동과 명백하게 구분되는 수익이나 비용은 당기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을 표 시하는 보고서에 특별손익 항목으로 표시한다.
- ④ 중요한 정보가 누락되지 않는 경우 재무제표의 표시통화를 천 단위나 백만 단위로 표 시할 수 있으며 금액 단위를 공시해야 한다.
- ⑤ 비용의 성격별 또는 기능별 분류방법 중에서 신뢰성 있고 목적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비용의 분석내용을 표시한다.
11. 금융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현금
② 대여금
③ 투자사채
④ 선급비용
⑤ 매출채권
12. (주)한국의 20×1년 말 현재 장부상 당좌예금계정잔액은 ₩22,500으로 은행측 예 금잔액증명서상 금액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잔액이 일치하지 않 는 원인이 다음과 같을 때, 차이 조정 전 은행측 예금잔액증명서상 금액은?
○ 은행 미기입 예금 ₩2,000
○ 기발행 미인출 수표 ₩5,000
○ 회사에 미통지된 입금액 ₩3,000
○ 은행으로부터 통보받지 못한 이자수익 ₩300
○ 은행으로부터 통보받지 못한 은행수수료 ₩200
① ₩22,500
② ₩23,600
③ ₩25,600
④ ₩28,600
⑤ ₩30,600
13. (주)한국은 액면금액이 ₩1,000,000인 사채를 발행하여 매년 말 이자를 지급하고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다. 사채와 관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표시이자율은?
○ 사채 발행금액: ₩875,650
○ 유효이자율: 연 10%
○ 1차년도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 ₩37,565
① 4%
② 5%
③ 6%
④ 7%
⑤ 8%
14. (주)한국의 20×1년 초 매출채권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5,000이다. 매출채권과 관 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도에 인식할 손상차손은?
○ 20×1년 3월 2일 당기 외상매출한 ₩7,500의 매출채권이 회수불가능한 것으 로 판명되었다.
○ 20×1년 6월 3일 전기에 손실충당금으로 손상처리한 매출채권 ₩1,000이 회 수되었다.
○ 20×1년 12월 31일 기말수정분개 전 매출채권 잔액은 ₩201,250이며, 매출채 권 잔액의 미래현금흐름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결과 ₩36,000의 손상이 발생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① ₩30,500
② ₩31,000
③ ₩35,000
④ ₩36,500
⑤ ₩37,500
15. (주)한국은 12월 1일 상품매입 대금 ₩30,000에 대해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 였다. 당좌수표 발행 당시 당좌예금 잔액은 ₩18,000이었고, 동 당좌계좌의 당좌 차월 한도액은 ₩20,000이었다. 12월 20일 거래처로부터 매출채권 ₩20,000이 당 좌예금으로 입금되었을 때 회계처리로 옳은 것은?
차변 | 대변 | 차변 | 대변 | |||||
---|---|---|---|---|---|---|---|---|
① | 당좌예금 | 20,000 | 매출채권 | 20,000 | 당좌차월 | 20,000 | 매출채권 | 20,000 |
③ | 당좌예금 | 12,000 | 매출채권 | 20,000 | 당좌예금 | 8,000 | 매출채권 | 20,000 |
④ | 당좌차월 | 8,000 | 당좌차월 | 12,000 | ||||
⑤ | 당좌예금 | 18,000 | 매출채권 | 20,000 | ||||
⑤ | 당좌차월 | 2,000 |
16. 유형자산의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기업이 판매를 위해 1년 이상 보유하며, 물리적 실체가 있는 것은 유형자산으로 분류 된다.
- ② 유형자산과 관련된 산출물에 대한 수요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초기 가동손실 은 취득원가에 포함한다.
- ③ 유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총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한다.
- ④ 기업은 유형자산 전체에 대해 원가모형이나 재평가모형 중 하나를 회계정책으로 선택 하여 동일하게 적용한다.
- 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그리고 내용연수는 적어도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한다.
17. (주)한국의 20×1년 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된 현금및현금성자산은 ₩4,000이다. 다 음 자료를 이용할 경우 당좌예금은?
○ 통화 ₩200
○ 보통예금 ₩300
○ 당좌예금 ?
○ 수입인지 400
○ 우편환증서 500
- ① ₩2,600
- ② ₩2,800
- ③ ₩3,000
- ④ ₩3,100
- ⑤ ₩3,500
18. 20×1년 7월 초 (주)한국은 토지와 건물을 ₩2,400,000에 일괄 취득하였다. 취득 당시 토지의 공정가치는 ₩2,160,000이고, 건물의 공정가치는 ₩720,000이었으며, (주)한국은 건물을 본사 사옥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건물에 대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도에 인식할 감가상각비는? (단, 건물에 대해 원가모형을 적용하 며, 월할상각한다.)
○ 내용연수: 5년
○ 잔존가치: ₩60,000
○ 감가상각방법: 연수합계법
- ① ₩90,000
- ② ₩110,000
- ③ ₩120,000
- ④ ₩180,000
- ⑤ ₩220,000
19. (주)한국은 20×1년 초에 상환의무가 없는 정부보조금 ₩100,000을 수령하여 기계 장치를 ₩200,000에 취득하였으며, 기계장치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 내용연수: 5년
○ 잔존가치: ₩0
○ 감가상각방법: 정액법
정부보조금을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회계처리 할 때, 20×1년 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될 기계장치의 장부금액은?
- ① ₩60,000
- ② ₩80,000
- ③ ₩100,000
- ④ ₩160,000
- ⑤ ₩200,000
20. 재고자산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 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기타 원가 모두를 포함한다.
- ②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하는 저가법은 항목별로 적용한다.
- ③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한다.
- ④ 도착지인도기준의 미착상품은 판매자의 재고자산으로 분류한다.
- ⑤ 기초재고수량과 기말재고수량이 같다면, 선입선출법과 가중평 균 법을 적용한 매출원가 는 항상 같게 된다.
21. (주)한국은 20×1년 초 내용연수 종료 후 원상복구 의무가 있는 구축물을 ₩500,000에 취득하였다. 내용연수 종료시점의 복구비용은 ₩100,000이 소요될 것 으로 추정되며, 복구비용의 현재가치 계산에 적용될 할인율은 연 10%이다. 구축물 에 대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도 감가상각비와 복구충당부채전입액은? (단, 이자율 10%, 5기간에 대한 단일금액 ₩1의 현재가치는 0.6209이다.)
○ 내용연수: 5년
○ 잔존가치: ₩50,000
○ 감가상각방법: 정액법
감가상각비 | 복구충당부채전입액 | |
---|---|---|
① | ₩90,000 | ₩6,209 |
② | ₩90,000 | ₩20,000 |
③ | ₩110,000 | ₩6,209 |
④ | ₩102,418 | ₩6,209 |
⑤ | ₩102,418 | ₩20,000 |
22. 다음은 계속기록법을 적용하고 있는 (주)한국의 20×1년 재고자산에 대한 거래내 역이다. 선입선출법을 적용한 경우의 매출원가는?
일자 | 적요 | 수량(개) | 단위당 원가 |
---|---|---|---|
1월 1일 | 기초재고 | 100 | ₩11 |
5월 1일 | 판매 | 30 | |
7월 1일 | 매입 | 50 | 20 |
8월 1일 | 판매 | 90 | |
11월 1일 | 매입 | 150 | 30 |
12월 1일 | 판매 | 140 |
- ① ₩1,200 ② ₩2,860 ③ ₩5,400 ④ ₩5,800 ⑤ ₩6,160
23. (주)한국은 20×1년 7월 1일 홍수로 인해 창고에 있는 상품재고 중 30%가 소실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은 소실된 상품재고를 파악하기 위한 20×1년 1월 1일부 터 7월 1일까지의 회계자료이다. (주)한국의 원가에 대한 이익률이 25%일 때 소 실된 상품재고액은?
○ 20×1년 기초 재고자산은 ₩60,000이다.
○ 1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발생한 매출액은 ₩1,340,000이고 매입액은 ₩1,260,000이다.
○ 7월 1일 현재 F.O.B. 선적지인도조건으로 매입하여 운송 중인 상품 ₩4,000 이 있다.
① ₩73,200
② ₩74,400
③ ₩93,300
④ ₩94,500
⑤ ₩104,200
24.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총매출액은?
항목 | 매출 | 항목 | 매출 |
---|---|---|---|
기초재고 | ₩50,000 | 매출할인 | ₩6,000 |
기말재고 | 30,000 | 매출운임 | 4,000 |
매입에누리 | 5,000 | 매출환입 | 7,000 |
매입할인 | 2,000 | 매출총이익 | 80,000 |
총매입액 | 400,000 |
- ① ₩493,000
- ② ₩500,000
- ③ ₩506,000
- ④ ₩510,000
- ⑤ ₩513,000
25. (주)한국은 다음과 같이 액면가 ₩1,000인 자기주식을 취득하여 매각하였다. 11월 10일 매각 시점의 분개로 옳은 것은?
날짜 | 적요 | 금액 | 주식수 |
---|---|---|---|
11월 1일 | 취득 | ₩950 | 50주 |
11월 5일 | 매각 | 970 | 20주 |
11월 10일 | 매각 | 930 | 30주 |
항목 | 차변 | 차변 | 대변 | 대변 |
---|---|---|---|---|
① | 현 금 | 27,900 | 자기주식 | 27,900 |
② | 현 금 | 27,900 | 자기주식 | 28,500 |
자기주식처분손실 | 600 | |||
③ | 현 금 | 27,900 | 자기주식 | 28,500 |
자기주식처분이익 | 400 | |||
자기주식처분손실 | 200 | |||
④ | 현 금 | 30,000 | 자기주식 | 28,500 |
자기주식처분손실 | 600 | |||
자기주식처분이익 | 900 | |||
⑤ | 현 금 | 30,000 | 자기주식 | 28,500 |
자기주식처분이익 | 1,500 |
26. (주)한국은 상품을 ₩1,000에 취득하면서 현금 ₩500을 지급하고 나머지는 3개월 이내에 지급하기로 하였다. 이 거래가 발생하기 직전의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은 각 각 70%와 60%이었다. 상품취득 거래가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단, 상품거래에 대해 계속기록법을 적용한다.)
유동비율 | 당좌비율 | 유동비율 | 당좌비율 | ||
---|---|---|---|---|---|
① | 감소 | 감소 | ② | 감소 | 변동없 음 |
③ | 변동없 음 | 감소 | ④ | 증가 | 변동없 음 |
⑤ | 증가 | 감소 |
27. 충당부채의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현재의무를 보고기간 말에 이 행 하기 위하여 필 요한 지출 에 대한 최 선의 추 정치이어야 한다.
- ② 충당부채로 인식하여야 하는 금액과 관련된 불확 실성은 상 황 에 따라 판단한다.
- ③ 화 폐 의 시간가치 영 향 이 중요한 경우에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 행 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한다.
- ④ 할인 율 은 부채의 특유한 위험과 화 폐 의 시간가치에 대한 현 행 시장의 평가를 반 영한 세전 이 율 이다.
- ⑤ 예상되는 자산 처분이익은 충당부채를 객관적으로 측 정하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28. (주)한국은 고객과 20×1년부터 3년간 용역제공 계약을 체결하고 용역을 제공하고 있다. 최초 계약 시 총계약금액은 ₩2,000이었다. 20×2년 중 용역계약원가의 상승 으로 총계약금액을 ₩2,400으로 변경하였다. 용역제공과 관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 을 때, (주)한국이 인식할 20×2년도 용역계약손익은? (단, 진행률에 의해 계약수 익을 인식하며, 진행률은 총추정계약원가 대비 누적발생계약원가로 산정한다.)
- ① 손실 ₩120
- ② 손실 ₩80
- ③ 이익 ₩120
- ④ 이익 ₩160
- ⑤ 이익 ₩240
29. (주)한국의 20×1년 1월 1일 유통보통주식수는 10,000주이다. 20×1년도에 발행된 보통주는 다음과 같다. 20×1년도 (주)한국의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는? (단, 가 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는 월수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 4월 1일 무상증자 10%를 실시하였다.
○ 9월 1일 유상으로 신주 15%를 공정가치로 발행하였다.
20×1년 | 20×2년 | 20×3년 | |
---|---|---|---|
당기발생계약원가 | ₩320 | ₩880 | ₩800 |
총추정계약원가 | 1,600 | 2,000 | 2,000 |
① 11,550주
② 11,600주
③ 11,650주
④ 11,700주
⑤ 11,750주
30. (주)한국의 20×1년 재무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도 매출액은?
○ 평균재고자산: ₩100,000 ○ 재고자산회전율: 5회 ○ 매출총이익: ₩50,000
- ① ₩400,000
- ② ₩450,000
- ③ ₩500,000
- ④ ₩550,000
- ⑤ ₩800,000
31. 수익인식 5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수행의무를 식별
ㄴ. 고객과의 계약을 식별
ㄷ. 거래가격을 산정
ㄹ. 거래가격을 계약 내 수행의무에 배분
ㅁ. 수행의무를 이행할 때 수익을 인식
- ① ㄱ → ㄴ → ㄷ → ㄹ → ㅁ
- ③ ㄴ → ㄱ → ㄷ → ㄹ → ㅁ
- ② ㄱ → ㄷ → ㄴ → ㄹ → ㅁ
- ④ ㄴ → ㄱ → ㄹ → ㄷ → ㅁ
- ⑤ ㄷ → ㄱ → ㄴ → ㄹ → ㅁ
32. (주)한국의 20×1년도 포괄손익계산서의 이자비용은 ₩800(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 액 ₩80 포함)이다. 20×1년도 이자와 관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이자지급으 로 인한 현금유출액은?
기초잔액 | 기말잔액 | |
---|---|---|
미지급이자 | ₩92 | ₩132 |
선급이자 | 40 | 52 |
- ① ₩652
- ② ₩692
- ③ ₩748
- ④ ₩852
- ⑤ ₩908
33. (주)한국의 20×1년 6월 영업자료에서 추출한 정보이다.
직접노무원가 | ₩170,000 | 기타제조간접원가 | ₩70,000 |
---|---|---|---|
간접노무원가 | 100,000 | 기초직접재료재고액 | 10,000 |
감가상각비(본부사옥) | 50,000 | 기말직접재료재고액 | 15,000 |
보험료(공장설비) | 30,000 | 기초재공품재고액 | 16,000 |
판매수수료 | 20,000 | 기말재공품재고액 | 27,000 |
6월 중 당기제품제조원가가 ₩554,000이라면 6월의 직접재료 매입액은?
① ₩181,000
② ₩190,000
③ ₩195,000
④ ₩200,000
⑤ ₩230,000
34. (주)한국은 표준원가계산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20×1년 기준조업도 900기계작업 시간 하에서 변동제조간접원가 예산은 ₩153,000이며,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은 ₩180,000이다. 당기의 실제기계작업시간은 840시간, 실제 발생된 변동제조간접원 가는 ₩147,000이었다. 조업도차이가 ₩10,000(불리)인 것으로 나타났다면, 변동제 조간접원가 능률차이(유리)는?
① ₩1,700
② ₩2,000
③ ₩18,700
④ ₩32,400
⑤ ₩47,200
35. (주)한국은 두 개의 보조부문(S1, S2)과 두 개의 제조부문(P1, P2)으로 제품을 생 산하고 있다. 각 부문원가와 용역수수관계는 다음과 같다.
보조부문 | 보조부문 | 제조부문 | 제조부문 | 계 | |
---|---|---|---|---|---|
S1 | S2 | P1 | P2 | 계 | |
부문원가 | ₩250,000 | ₩152,000 | - | - | |
S1 | - | 40 | 20 | 40 | 100% |
S2 | 40 | - | 40 | 20 | 100% |
상호 배부법으로 보조부문원가를 배부한 결과, S1의 총부문원가는 S2로부터 배부 받은 금액 ₩120,000을 포함하여 ₩370,000이었다. P2에 배부되는 보조부문원가 합계액은?
- ① ₩164,400
- ② ₩193,200
- ③ ₩194,000
- ④ ₩208,000
- ⑤ ₩238,400
36. (주)한국은 세 가지 결합제품( A, B, C )을 생산하고 있으며, 결합원가는 분리점에 서의 상대적 판매가치에 의해 배분된다.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A | B | C | 합계 | |
---|---|---|---|---|
결합원가 배분액 | ? | ₩10,000 | ? | ₩100,000 |
분리점에서의 판매가치 | ₩80,000 | ? | ? | 200,000 |
추가가공원가 | 3,000 | 2,000 | ₩5,000 | |
추가가공 후 판매가치 | 85,000 | 42,000 | 120,000 |
결합제품 C 를 추가가공하여 모두 판매하는 경우 결합제품 C 의 매출총이익은? (단, 공손과 감손, 재고자산은 없다.)
① ₩65,000
② ₩70,000
③ ₩80,000
④ ₩110,000
⑤ ₩155,000
37. (주)한국은 정상원가계산제도를 채 택 하고 있으며, 직접노무시간을 기준으로 제조 간접원가를 배부하고 있다. (주)한국의 20×1년 제조간접원가는 다음과 같이 추정 된다.
y = 30,000 + 400 x ( x : 직접노무시간, y : 제조간접원가)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직접노무시간 1,000시간 까지는 관련 범 위 내 에 있다.)
- ① 직접노 무시간이 200시간으로 예상될 때 제조간 접 원가는 ₩110,000으로 추 정된다.
- ② 직접노 무시간이 300시간으로 예상될 때 제조간 접 원가 예정배부 율 은 ₩500이다.
- ③ 직접노 무시간이 400시간일 때 제조간 접 원가의 변동예산액은 ₩160,000이다.
- ④ 직접노 무시간당 제조간 접 원가는 ₩400 증가하는 것으로 추 정된다.
- ⑤ 직접노 무시간이 영(0)일 때 제조간 접 원가는 ₩30,000으로 추 정된다.
38. (주)한국의 20×1년 제품 생산 ㆍ 판매와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판매량 20,000단위
공 헌 이익률 30%
매출액 ₩2,000,000
손익분기점 판매량 16,000단위
20×2년 판매량이 20×1년 보다 20% 증가한다면 영업이익의 증가액은? (단, 다른 조건은 20×1년과 동일하다.)
① ₩24,000
② ₩120,000
③ ₩168,650
④ ₩184,000
⑤ ₩281,250
39. (주)한국은 한 종류의 제품 X 를 매월 150,000단위 씩 생산 ㆍ 판매하고 있다. 단위당 판매가격과 변동원가는 각각 ₩75과 ₩45이며, 월 고정원가는 ₩2,000,000으로 여 유생산능 력 은 없다. (주)한국은 (주)대한으로부터 매월 제품 Y 10,000단위를 공급 해 달 라는 의뢰를 받 았 다. (주)한국은 제품 X 의 생산라인을 이용하여 제품 Y 를 즉 시 생산할 수 있다. 그러 나 (주)한국이 (주)대한의 주문을 받 아 들이기 위해서는 제품 X 의 생산 ․ 판매량 8,000단위를 포기해 야 하고, 제품 Y 를 생산 ․ 판매하면 단 위당 ₩35의 변동원가가 발생한다. (주)한국이 현재의 이익을 유지하 려 면 이 주문 에 대한 가격을 최소한 얼마 로 책 정해 야 하는가? (단, 재고자산은 없다.)
① ₩43
② ₩59
③ ₩63
④ ₩69
⑤ ₩73
40. (주)한국의 20×1년 종합예산의 일부 자료이다.
2월 | 3월 | 4월 | |
---|---|---|---|
매출액 | ₩100,000 | ₩200,000 | ₩300,000 |
월별 매출은 현금매출 60%와 외상매출 40%로 구성되며, 외상매출은 판매된 다음 달 에 40%, 그 다음 달 에 나머지가 모두 회수된다. 20×1년 4월 말 매출채권 잔액 은?
① ₩48,000
② ₩56,000
③ ₩72,000
④ ₩144,000
⑤ ₩16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