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주택관리사 기출문제 27회
회계원리
1.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에 적용되는 일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경영진은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 ② 부적절한 회계정책은 이에 대하여 공시나 주석 또는 보충 자료를 통해 설명하더라도 정당화될 수 없다.
- ③ 전체 재무제표(비교정보를 포함)는 적어도 1년마다 작성한다.
- ④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요구하거나 허용하지 않는 한 자산과 부채 그리고 수익과 비용은 상계하지 아니한다.
- ⑤ 모든 재무제표는 발생기준 회계를 사용하여 작성해야 한다.
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체 재무제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기말 재무상태표
ㄴ. 경영진 재무검토보고서
ㄷ. 환경보고서
ㄹ. 기간 현금흐름표
ㅁ. 기간 손익과 기타포괄손익계산서
ㅂ . 주석
① ㄱ ㄴ ,
② ㄴ ㄷ ,
③ ㄷ ㄹ ,
④ ㄹ ㅁ
⑤ ㅁ ㅂ ,
3. 재고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높은 금액으로 측정한다.
- ② 개별법이 적용되지 않는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선입선출법, 가중평균법 및 후입선출 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 ③ 재고자산의 수량결정방법 중 실지재고조사법만 적용 시 파손이나 도난이 있는 경우 매출원가가 과소평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 ④ 부동산매매를 주된 영업활동으로 하는 부동산매매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판매목적의 건물과 토지는 재고자산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 ⑤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재고청산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선입선출법의 매출원가 가 다른 방법에 비해 가장 크게 나타난다.
4. (주)한국의 다음 재고자산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 매입가격 ₩500,000
○ 매입운임 ₩2,500
○ 매입할인 15,000
○ 하역료 10,000
○ 수입관세(과세당국으로부터 추후 환급받을 금액 ₩7,500 포함) 10,000
○ 재료원가, 기타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 4,000
○ 후속 생산단계에 투입 전 보관이 필요한 경우 이외의 보관원가 1,000
① ₩500,000
② ₩505,000
③ ₩514,000
④ ₩522,500
⑤ ₩529,000
5. (주)한국의 다음 재고자산 관련 거래내역을 계속기록법에 의한 이동평균법을 적 용할 경우 기말재고액은? (단,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은 없으며, 재고자산 단가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일자 | 적요 | 수량(단위) | 단위당 원가 | 단위당 판매가격 |
---|---|---|---|---|
1월 1일 | 기초재고 | 500 | ₩75 | |
6월 1일 | 매출 | 250 | ₩100 | |
8월 1일 | 매입 | 250 | ₩90 | |
12월 1일 | 매출 | 300 | ₩100 |
① ₩15,000
② ₩16,000
③ ₩16,500
④ ₩18,000
⑤ ₩18,500
6. (주)한국의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재고자산회전율은? (단, 재고자산회전율은 매출원가 및 기초와 기말의 평균재고자산을 이용하며, 계산결과는 소수점 둘째자 리에서 반올림한다.)
○ 기초재고자산 | ₩18,000 | ○ 당기 매입액 | ₩55,000 |
○ 당기 매출액 | 80,000 | ○ 매출총이익률 | 30% |
7. (주)한국이 20×1년 말 실지재고조사한 재고자산 원가는 ₩50,000으로 파악되었다. (주)한국이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다음 추가사항을 고려할 경우 정확한 기말재고 자산은? (단,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은 없다.)
○ 20×1년 12월 27일 (주)대한으로부터 FOB 선적지 인도조건으로 매입하여 운송 중인 상품의 원가는 ₩15,000이며, 이 상품은 20×2년 초 (주)한국에 도착할 예정이다.
○ (주)한국이 20×1년 중 구매자에게 시용판매의 목적으로 인도한 상품의 원가 는 ₩20,000이며, 기말 현재 구매자는 이 상품에 대해 30%의 구매의사 표시 를 하였다.
○ (주)한국의 20×1년 말 실사한 재고자산 중 ₩20,000은 주거래은행의 차입금 에 대한 담보로 제공 중이며, 저당권은 아직 실행되지 않았다.
○ (주)한국이 20×1년 중 위탁판매를 위해 수탁자인 (주)민국에게 적송한 상품 의 원가는 ₩15,000이며, 기말 현재 (주)민국은 60%의 판매완료를 통보해 왔다.
① ₩70,000
② ₩77,000
③ ₩85,000
④ ₩91,000
⑤ ₩105,000
8. (주)한국의 20×1년 초 재무상태표상 당좌자산은 ₩3,500, 재고자산은 ₩1,500, 유 동부채는 ₩2,000으로 나타났다. (주)한국이 20×1년 중 상품 ₩1,000을 현금매입 하고 외상매출금 ₩500을 현금회수한 경우 (가) 당좌비율과 (나) 유동비율에 미치 는 영향은? (단, (주)한국의 유동자산은 당좌자산과 재고자산만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계속기록법을 적용한다.)
(가) | (나) | (가) | (나) | (가) | (나) | |||
---|---|---|---|---|---|---|---|---|
① | 감소 | 감소 | ② | 감소 | 불변 | ③ | 증가 | 감소 |
④ | 증가 | 불변 | ⑤ | 불변 | 불변 |
9. 각 기업에 대한 감사의견이 순서대로 올바르게 제시된 것은?
○ (갑회사) 회계감사를 받기 위해 제출한 재무제표에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을 중요하게 위배한 내용이 있었지만, 회계감사 종료 전에 모두 수정되어 최 종 재무제표에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중요하게 위배한 내용이 없었다.
○ (을회사) 회계감사 이후 최종 재무제표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위배한 내 용이 포함되어 있으나, 위배 내용이 미미하며 중요하지는 않다.
○ (병회사) 감사범위가 중대하게 제한되어 적절한 회계감사를 수행할 수 없었다.
① 적정의견, 적정의견, 의견거절
② 적정의견, 적정의견, 부적정의견
③ 한정의견, 한정의견, 한정의견
④ 한정의견, 적정의견, 의견거절
⑤ 한정의견, 적정의견, 부적정의견
10. 20×1년 말 재무제표에 부채로 반영해야 하는 항목을 모두 고른 것은? (단, 각 거 래는 독립적이다.)
ㄱ. 20×1년 근무결과로 20×2년에 연차를 사용할 수 있게 됨(해당 연차는 20×2년 에 모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나, 사용되지 않은 연차에는 20×3년 초에 수 당이 지급됨)
ㄴ. 20×1년 말 구매계약이 체결되고 20×2년에 컴퓨터 납품예정
ㄷ. 20×1년 재무제표 승인을 위해 20×2년 3월에 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현금 배당 결의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ㄱ ㄴ ㄷ
11. (주)한국은 모든 매출거래를 매출채권 증가로 처리한다. 20×1년과 20×2년 중 회 수불능이 확정되어 제거된 매출채권은 없으며, 회수불능으로 회계처리했던 매출 채권을 현금으로 회수한 내역도 없을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계정과목 | 20×1년 | 20×2년 |
---|---|---|
기말 매출채권 | ₩95,000 | ₩100,000 |
기말 손실충당금 | 15,500 | 17,000 |
매출액 | 950,000 | 980,000 |
손상차손 | 15,500 | ? |
- ① 20×2년 초 매출채권의 전기이월액은 ₩95,000이다.
- ② 20×1년 초 손실충당금의 전기이월액은 ₩0이다.
- ③ 20×2년 손상차손은 ₩1,500이다.
- ④ 20×2년 초 손상차손의 전기이월액은 ₩0이다.
- ⑤ 20×2년 중 현금 회수된 매출채권은 ₩976,500이다.
12. 아파트 관리업무를 영위하는 (주)한국의 당기 말 자본총계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는 모두 몇 개인가? (단, 각 거래는 독립적이다.)
○ 당기 관리비수입 발생(단, 당기 말까지 관리비 고지서는 미 발행)
○ 차기 관리비를 당기에 미리 수령
○ 당기 급여 발생(단, 급여지급은 차기에 이루어짐)
○ 당기 중 주식배당 실시
○ 당기 미수이자 발생(단, 이자수령은 차기에 이루어짐)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⑤ 5개
13. 20×1년과 20×2년 말 미수임대료와 선수임대료 잔액이 다음과 같을 때, 20×2년 중 현금으로 수취한 임대료가 ₩118,000이 라면 , 20×2년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될 임대료는?
구분 | 20×1년 말 | 20×2년 말 |
---|---|---|
미수임대료 | ₩11,000 | ₩10,000 |
선수임대료 | 7,800 | 8,500 |
① ₩116,300
② ₩117,700
③ ₩118,000
④ ₩118,300
⑤ ₩119,700
14. 재무보고를 위한 개 념 체계에서 제시한 측 정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공정가치는 자산을 취득할 때 발생한 거래원가로 인해 증가할 수 있다.
- ② 공정가치와 역사적원가는 유입가치에 해당한다.
- ③ 사용가치는 기업 특유의 가정보다는 시장참여자의 가정을 반영한다.
- ④ 자산의 현행원가는 측정일 현재 동등한 자산의 원가로서 측정일에 지급할 대가와 그 날에 발생할 거래원가를 포함한다.
- ⑤ 역사적 원가를 기반으로 한 이익은 현행원가를 기반으로 한 이익보다 미래 이익을 예측하는 데 더 유용하다.
15. 근본적 질 적 특 성에 해당하는 것은?
- ① 비교가능성
- ② 이해가능성
- ③ 검증가능성
- ④ 적시성
- ⑤ 목적적합성
16. (주)한국은 20×1년 초 건 물 을 ₩50,000에 취득하고 투자부동산(공정가치모 형 선택) 으로 분 류 하였다. 동 건 물 의 20×1년 말 공정가치는 ₩38,000, 20×2년 말 공정가치 는 ₩42,000일 때, 20×2년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단, (주)한국은 건 물 을 내용연수 10년, 잔 존 가치 ₩0, 정액법 상각한다.)
- ① ₩2,000 증가
- ② ₩3,000 증가
- ③ ₩4,000 증가
- ④ ₩5,500 증가
- ⑤ ₩9,500 증가
17. 기계 장 치 취득과 관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취득원가는?
○ 구입가격 | ₩1,050 |
---|---|
○ 최초의 운송 및 취급 관련원가 | 100 |
○ 신 제품 광 고 및 판 촉활 동 관련원가 | 60 |
○ 정상작동여부를 시 험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 | 100 |
○ 시 험 가동과정에서 생산된 시제품의 순매각금액 | 20 |
○ 다른 기계 장 치의 재배치 과정에서 발생한 원가 | 50 |
① ₩1,050
② ₩1,150
③ ₩1,230
④ ₩1,250
⑤ ₩1,340
18. 포괄손익계산서 회계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① 자산
② 부채
③ 자본
④ 자본잉여금
⑤ 수익
19. (주)한국은 20×1년 초 4년간 용역을 제공하기로 하고 총 계약금액 ₩100,000의 용역계약을 수주하였다.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3년도 용역계약이익은? (단, 진행률에 의해 계약수익을 인식하며, 진행률은 총추정계약원가 대비 누 적발 생계약원가로 산정한다.)
구분 | 20×1년 | 20×2년 | 20×3년 | 20×4년 |
---|---|---|---|---|
누 적발생계약원가 | ₩24,000 | ₩52,000 | ₩68,000 | ₩80,000 |
추가소요예정원가 | 56,000 | 28,000 | 12,000 | - |
- ① ₩4,000
- ② ₩5,000
- ③ ₩6,000
- ④ ₩7,000
- ⑤ ₩8,000
20. (주)한국은 20×1년 초 취득하고 즉 시 사용한 기계 장 치(정액법 상각, 내용연수 4 년, 잔 존 가치 ₩2,000, 원가모 형 선택)를 20×4년 초 현금 ₩16,000에 처분하 면 서 유 형 자산처분이익 ₩1,500을 인식하였을 때, 기계 장 치의 취득원가는? (단, 손상 및 추가지출은 없다.)
① ₩50,000
② ₩52,000
③ ₩54,000
④ ₩56,000
⑤ ₩58,000
21. 20×1년 초 (주)한국은 현금 ₩12,000을 이전대가로 지급하고 (주)대한을 합 병하였다. 합 병일 현재 (주)대한의 식 별 가능한 자산과 부채의 공정가치가 다음과 같을 때, (주) 한국이 인식할 영업권은?
○ 매출채권 | ₩4,000 | ○ 비유동부채 | ₩7,000 |
○ 재고자산 | 7,000 | ○ 매입채무 | 5,000 |
○ 유 형 자산 | 9,000 |
- ① ₩3,000
- ② ₩4,000
- ③ ₩5,000
- ④ ₩7,000
- ⑤ ₩8,000
22. 유 형 자산의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경우 의무 이행에 소요될 것으로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를 취득 시 비용으로 처리한다.
- ② 정기적인 종합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가 인식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유형자산의 일부가 대체되는 것은 해당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지 않는다.
- ③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생산과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 ④ 재평가모형을 적용하는 유형자산의 손상차손은 해당 자산에서 생긴 재평가잉여금에 해당하는 금액까지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다.
- ⑤ 상업적 실질이 결여된 교환거래에서 취득한 자산의 취득원가는 제공한 자산의 공정 가치로 측정한다.
23. 고 객 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서 설명하는 다음 ( )에 공통으로 들 어 갈 용어는?
○ 수익인식 5단계 : 계약의 식 별 → ( )의 식 별 → 거래가격을 산정 → 거래가 격을 계약 내 ( )에 배분 → ( )의 이행에 따라 수익을 인식
○ ( ) : 고 객 과의 계약에서 구 별 되는 재 화 나 용역 또 는 실 질 적으로 서로 같고 고 객 에게 이전하는 방 식도 같은 일련의 구 별 되는 재 화 나 용역을 고 객 에게 이전 하기로 한 약속
- ① 환불부채
- ② 계약자산
- ③ 계약부채
- ④ 판매가격
- ⑤ 수행의무
24. 다음에 해당하는 자본항목은?
상법의 규정에 따라 자본금의 1/2에 달 할 때까지 현금배당액의 1/10 이상을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한다.
① 주식발행초과금
② 감자차익
③ 자기주식
④ 주식할인발행차금
⑤ 이익준비금
25. 기업이 종업원에게 급여를 지급하 면 서 소득세 등 을 원 천징 수하여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계정과목은?
- ① 예수금
- ② 선수금
- ③ 선급금
- ④ 미수금
- ⑤ 미지급금
26. (주)한국은 20×1년 1월 1일에 상각후원가로 측 정하는 액 면 금액 ₩10,000의 사채 (표시이자율 연 5%, 이자는 매년 말 후급, 유 효 이자율 연 10%, 만기 20×3년 말) 를 ₩8,757에 발행하였다. (주)한국이 동 사채의 90%를 20×3년 1월 1일에 ₩9,546을 지급하고 조기상환했을 때, 사채상환손익은? (단, 단수차이가 발생할 경우 가 장 근사치를 선택한다.)
- ① 손익 ₩0
- ② 손실 ₩541
- ③ 이익 ₩541
- ④ 손실 ₩955
- ⑤ 이익 ₩955
27. 다음은 (주)한국의 20×1년 재무제표 자료이다. (주)한국의 20×1년 법인세비용차 감전순이익은 ₩10,000일 때, 간 접 법으로 산출한 영업 활 동현금흐름은?
○ 감가상각비 | ₩4,000 | ○ 매출채권(순액)의 증가 | ₩2,000 |
○ 재고자산의 증가 | 4,000 | ○ 매입채무의 감소 | 2,000 |
○ 유상증자 | 2,000 | ○ 사채의 상환 | 4,000 |
- ① ₩6,000
- ② ₩8,000
- ③ ₩10,000
- ④ ₩12,000
- ⑤ ₩14,000
28. 금 융 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매출채권
- ② 투자사채
- ③ 다른 기업의 지분상품
- ④ 당기법인세자산
- ⑤ 거래상대방에게서 국채를 수취할 계약상의 권리
29. 20×1년 초에 설립된 (주)한국의 유통보통주식수는 10,000주(주당 액 면 금액 ₩1,000)이고 우선주는 3,000주(배당률 10%, 누 적적, 비 참 가적, 주당 액 면 금액 ₩1,000)이며, 20×1년에 유통보통주식수의 변 동은 없다. 20×1년 당기순이익이 ₩5,000,000일 때, (주)한국의 기본주당순이익은?
- ① ₩8,600
- ② ₩9,400
- ③ ₩9,800
- ④ ₩10,000
- ⑤ ₩10,200
30. (주)한국이 은행으로부터 통지받은 은행 예금잔액증명서 상 잔액은 ₩10,000이고, 장 부상 당좌예금 잔액과 차이가 있다. 당좌예금계정 잔액의 불일치 원인이 다음과 같을 때, (주)한국의 조정 전 당좌예금 계정 잔액은?
○ (주)한국이 거래처에 발행하였으나 은행에서 미인출된 수표 | ₩2,000 |
○ (주)한국은 입금처리하였으나 은행에서 미기록한 예금 | 1,000 |
○ (주)한국에서 회계처리하지 않은 은행수수료 | 300 |
○ 타회사가 부담할 수수료를 (주)한국의 계정에서 차감한 은행의 오류 | 400 |
○ (주)한국에서 회계처리하지 않은 이자비용 | 500 |
① ₩385
② ₩400
③ ₩470
④ ₩485
⑤ ₩500
31. (주)한국은 20×1년 5월 1일 주식 A 100주를 취득일의 공정가치인 주당 ₩100에 취 득하고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 정 금 융 자산으로 분 류 하였다. 20×1년 말과 20×2년 말 의 주식 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다. A
구 분 | 20×1년 말 | 20×2년 말 |
---|---|---|
주식 A 공정가치 | ₩120 | ₩140 |
(주)한국은 20×2년 5월 1일 주식 A 50주를 처분일의 공정가치인 주당 ₩110에 처 분하고, 나 머 지 50주는 계속 보유하고 있다. 20×2년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 ① 영향 없음
- ② ₩500 감소
- ③ ₩500 증가
- ④ ₩1,000 감소
- ⑤ ₩1,000 증가
32. (주)한국의 20×1년 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된 현금및현금성자산은 ₩500이다. 다음 자료를 이용할 경우 보통예금은?
○ 통 화 ₩50
○ 송금수표 ₩100
○ 선일자수표 ₩150
○ 보통예금 ?
○ 당좌개설보증금 150
○ 우편 환증서 100
○ 도성예금증서(취득일 20×1년 1일, 만기일 20×2년 1월 10일) 150
① ₩200
② ₩250
③ ₩300
④ ₩350
⑤ ₩400
33. (주)한국의 내년 예상손익자료는 다음과 같다. 연간 생산 ㆍ 판매량이 20% 증가한 다 면 영업이익은 얼마 나 증가하는가?
○ 단위당 판매가격 | ₩2,000 | ○ 변 동원가율 | 70% |
○ 손익분기점 판매량 | 300개 | ○ 연간 생산 ㆍ 판매량 | 400개 |
- ① ₩48,000
- ② ₩54,000
- ③ ₩56,000
- ④ ₩60,000
- ⑤ ₩66,000
34. (주)한국의 20×1년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직 접노 무원가가 기본원가( prime cost )의 40%일 때 기말재공품 금액은?
○ 직 접 재료원가 | ₩90,000 | ○ 제조간접 원가 | ₩70,000 |
○ 당기제품제조원가 | 205,000 | ○ 기초재공품 | 5,000 |
- ① ₩10,000
- ② ₩20,000
- ③ ₩60,000
- ④ ₩90,000
- ⑤ ₩110,000
35. (주)한국은 상품매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20×1년 3분기의 상품매입예산은 다음과 같다.
구분 | 7월 | 8월 | 9월 |
---|---|---|---|
상품매입액(예산) | ₩70,000 | ₩90,000 | ₩80,000 |
매월 상품매입은 현금매입 40%와 외상매입 60%로 이루어진다. 매입시점의 현금 매입에 대해서는 2%의 할인을 받고 있다. 외상매입의 30%는 매입한 달 에 지급하 고, 나 머 지는 그 다음 달 에 지급한다. 20×1년 9월의 현금지출예상액은?
① ₩78,560
② ₩79,560
③ ₩83,560
④ ₩85,560
⑤ ₩88,560
36. (주)한국의 20×1년 제조간 접 원가 표준 자료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수량표준 | 표준배부율 |
---|---|---|
변 동제조간 접 원가 | 2시간 | ₩5 |
고정제조간 접 원가 | 2시간 | 4 |
20×1년 제조간 접 원가의 기준조업도는 2,500직 접노 무시간, 실제 발생한 직 접노 무 시간은 2,750시간이다. 20×1년 제조간 접 원가의 조업도차이는 ₩2,000(불리)이었 다. 제조간 접 원가 능률차이는?
① ₩1,250(유리)
② ₩1,250(불리)
③ ₩2,450(유리)
④ ₩2,450(불리)
⑤ ₩3,750(불리)
37. (주)한국은 1개의 보조부 문S 와 2개의 제조부 문 P 1과 P 2를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부 문 공통원가인 화 재보 험 료와 감가상각비는 각 부 문 의 점유 면 적을 기준으로 배분한다. 20×1년 6월의 관련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보조부 문 원가를 배분한 후 제 조부 문 P 1의 부 문 원가(총액)는?
보조부 문 | 제조부 문 | 제조부 문 | 계 | |
---|---|---|---|---|
S | P 1 | P 2 | ||
부 문 공통원가 화 재보 험 료 감가상각비 | ₩16,000 | |||
14,000 | ||||
부 문 개 별 원가 | ₩10,000 | ₩15,000 | ₩18,000 | |
점유 면 적( m 2 ) | 20 | 30 | 50 | 100 |
용역수수관계(%) | 20 | 50 | 30 | 100 |
- ① ₩21,000
- ② ₩24,000
- ③ ₩28,000
- ④ ₩32,000
- ⑤ ₩34,000
38. (주)한국은 20×1년 초에 설립되었다. 20×1년과 20×2년의 생산 및 판매 활 동은 동 일한 데 생산량은 500개이고, 판매량은 300개이다. 원가 및 물 량흐름은 선입선출법 을 적용한다. 20×2년 전부원가계산의 영업이익이 변 동원가계산의 영업이익보다 ₩120,000 더 많 았다. 20×2년 말 기말제품재고에 포함된 고정제조간 접 원가는? (단, 재공품은 없다.)
① ₩210,000
② ₩220,000
③ ₩230,000
④ ₩240,000
⑤ ₩250,000
39. (주)한국은 가중평균법으로 종 합 원가계산을 적용하고 있다. 모든 원가는 공정 전반 에 걸쳐 균 등 하게 발생한다. 20×1년 기초재공품수량은 100개(완성도 60%), 당기착 수수량은 1,100개, 당기완성품수량은 900개, 기말재공품수량은 200개(완성도 30%) 이다. 20×1년의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는 ₩187이다. 품 질 검사는 완성도 40% 시점에서 이루어지며, 검사를 통과한 합 격품의 5%를 정상공손으로 간주한다. 정상 공손원가를 정상품에 배분한 후의 기말재공품 금액은?
① ₩11,220
② ₩11,430
③ ₩11,640
④ ₩11,810
⑤ ₩11,890
40. 20×1년 초 설립된 (주)한국은 생산된 제품을 당해연도에 모두 판매한다. 20×1년에 제품 A 900개를 생산하여 단위당 ₩3,000의 가격으로 판매하였다. 20×1년의 제품 A 의 원가구조는 다음과 같다.
○ 단위당 변 동제조원가 | ₩800 | ○ 고정제조원가(총액) | ₩800,000 |
○ 단위당 변 동판매관리비 | 600 | ○ 고정판매관리비(총액) | 600,000 |
20×2년 초 (주)한국의 경영자는 제품 A 의 제조공정을 개선하려고 한다. 제조공정을 개선하 면 고정제조원가는 연간 ₩317,800 증가하고, 직 접노 무원가는 단위당 ₩100 절감된다. 단위당 변 동판매관리비와 판매가격, 고정판매관리비는 20×1년과 동일하 다. 20×2년 제품 A 의 영업이익을 20×1년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품 의 생산 A ㆍ 판매수량은? (단, 재공품은 없다.)
① 1,021개
② 1,034개
③ 1,045개
④ 1,073개
⑤ 1,099개